728x90
반응형
목차
1. mv 명령어란
2. mv 명령어 사용법
3. mv 명령어 옵션
4. mv 명령어 사용 예
Linux command
mv
1. mv 명령어란
mv(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시킬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2. mv 명령어 사용법
mv [옵션] [이동 할 파일][이동 될 위치 경로]
mv [옵션] [변경전파일명][변경후파일명]
mv [옵션] [이동 할 파일][이동경로 및 새로운파일명]
3. mv 명령어 옵션
번호 | 옵션(-) | long옵션(--) | 설명 |
1 | -b | --backup | 지정 위치에 동일파일이 있을 경우 백업후 이동 |
2 | -f | --force | 지정 위치에 동일 파일이 있을 경우 강제로 덮어 쓰고 메세지를 묻지 않음. |
3 | -i | --interactive | 지정 위치에 동일 파일이 있을 경우 덮어쓰기전 메세지 출력으로 의사 묻기. |
4 | -n | --no-clobber | 지정 위치에 동일 파일이 있을 경우 이동하지 않는다. |
5 | -S | --suffix=SUFFIX | 백업 파일 생성시 ~말고 원하는 단어를 지정한다.( 디폴트는 뒤에 ~) |
6 | -t | --target-directroy= DIRECTORY |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t옵션은 파일이름 지정시 에러) |
7 | -T | --no-target-directory | 지정된 대상을 원본파일로 인식해서 이동 |
8 | -u | --update | 파일을 변경된 경우에만 이동한다. |
9 | -v | --verbose | 파일 이동시 결과를 출력. |
10 | --help | 명령어의 도움말을 출력. | |
11 | --version | 명령어의 버전을 출력. |
4. mv 명령어 사용 예
디렉토리 이동 기본 구조
. mv 이름 변경
mv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mv 이동 파일 백업
mv -b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mv 강제 덮어쓰기 이동
mv -f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mv 덮어쓰기 이동시 의사 묻기
mv -i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mv 동일 파일 존재시 이동 안되기
mv -n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mv 백업 생성시 디폴트 이름(~) 말고 새로만들기
mv -s [백업추가이름][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지정 디렉토리로 이동
mv -t [이동 또는 변경 대상 디렉토리] [ 이동 시킬 지정 디렉토리 ]
. 지정된 대상을 원본으로 이동
mv -T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파일이 변경된 경우에만 이동
mv -u [이동 또는 변경 대상 파일명] [ 이동 또는 변경 후 파일명]
. 파일이동또는 변경시 알림
mv -v [이동 또는 변경대상 파일명][이동 또는 변경후 파일명]
참조 할 다른 명령어
4. 리눅스 디렉토리 권환 확인 및 변경 chmod,chown,chgrp
7.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일생성,삭제,보기,병합 cat
8.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일생성 및 시간변경 touch9
728x90
반응형
LIST
'네트워크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하드링크(Hard Link) vs 심볼릭링크(Symbolic Link) (0) | 2022.08.07 |
---|---|
[Linux]리눅스 기본 명령어 rm(파일 삭제) (0) | 2022.08.07 |
[Linux]리눅스 명령어 cp(파일복사) (0) | 2022.08.07 |
[Linux]리눅스 명령어 touch(파일 생성 및 날짜 변경) (0) | 2022.08.07 |
[Linux]리눅스 명령어 cat , more, less, head, tail(파일내용 보기) (0) | 2022.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