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COUNTIF함수와 EXACT함수가 있습니다.
COUNTIF함수는 중복된 값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로 몇 번 중복되었는지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EXACT함수는 중복된 값을 찾을 수 있는데, 동일한 값이 2개 이상 있다면 2번째부터 중복으로 표시해 줍니다.
COUNTIF함수로 중복 값 개수 찾기
준비작업
COUNTIF함수를 쓰기 위해서는 준비작업이 필요한데. 바로 기준 데이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①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있다면
② 데이터에서 언급된 항목 값 "치킨", "피자", "떡볶이", "곱창"을 하나의 표로 만들어 줍니다.
비교할 대상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엑셀 중복값 찾기
이제 중복 값이 몇 개인지 확인해 봅시다.
① 중복 값 개수를 입력할 셀을 선택하고, 함수를 입력합니다.
함수 마법사에서 COUNTIF함수를 선택하거나, 함수 입력창에 "=COUNTIF"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② 비교할 영역(Range)을 입력합니다.
우리가 중복 값이 있는 데이터 영역(D3:D22)을 입력합니다.
다음 비교할 값(Criteria) F3을 입력합니다.
함수 식으로는 "=COUNTIF(D3:D22, F3)"입니다.
엑셀 중복값 찾기
이런 식으로 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올 겁니다.
중복수가 3이 나오는데 곱창 1개는 중복에서 제외해야 하기 때문에 중복수는 2개가 됩니다.
COUNTIF함수는 같은 데이터의 개수를 찾는 함수라 총 개수가 출력됩니다.
EXACT함수로 중복 값 찾기
EXACT함수는 중복 값을 찾아주는 함수입니다.
EXACT함수는 셀을 위아래만 비교하기 때문에 아래표와 같이 준비를 해야 함수를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엑셀 중복값 찾기
비교할 값이 있는 셀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마우스]+우클릭 또는 [메뉴]→[정렬]→[오름차순 정렬] 하면 됩니다.
중복 여부 셀을 선택하고, EXACT 함수식을 입력합니다.
위아래를 비교해갈 것이기 때문에 함수식은 "=EXACT(D2, D3)"입니다.
나머지 셀은 드래그해서 식만 복사해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면 중복여부 셀에서 CTRL+F로 모두바꾸기 해서 TRUE는 중복이라는 단어로 FALSE는 빈칸으로 바꿔주면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원상 복구하기 위해서 ID셀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주면 됩니다.
'나의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 소프트 계정 만들기 (0) | 2022.08.02 |
---|---|
웹개발자 어떻게 공부할까요 (0) | 2022.07.31 |
프로그래밍 공부법에 대하여 (0) | 2022.07.31 |
프론트엔드개발자와 백엔드개발자가 하는일과 언어 (0) | 2022.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