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CP/IP 1. 네트워크란 2. 프로토콜 3. TCP/IP 프로토콜 1. 통신서비스와 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1.1 통신서비스 1.2 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정리 |
TCP/IP
1.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는 사전적 의미로는 “망상 조직” 또는 “망”이라는 의미
- 정보 공유를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컴퓨터와 모니터,프린터,스캐너등 연결된 형태도 네트워크이다.
- 네트워크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으로 유선과 무선이 있다.
- 전송 매체는 UTP케이블,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
① LAN
- LAN(Local Area Network)은 대학이나 연구소, 기업 내와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 있는 기기끼리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 동축 케이블, UTP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된 유선 통신
- 전송 매체 없이 적외선, RF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② WAN
- WAN(Wide Area Network)은 회사의 지점 간 등 지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있는 기기끼리 연결한 비교적 대규모의 네트워크
- 주로 동축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공중망(전화 회선)등을 사용
③ 인터넷
- 인터넷(Internet)은 여러 개의 LAN이나 WAN을 연결한 전 세계 규모의 네트워크
- 컴퓨터, 휴대 전화, 소형 단말기와도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음
④ 인트라넷
- 인트라넷(Intranet)은 지역 한정판, 즉 특정 회사나 지역 내의 컴퓨터끼리만 정보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2.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이란, 간단히 말하면 국가끼리 문제없이 교류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 즉 프로토콜은 컴퓨터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을 말한다.
좀더 쉽게 말하면 미국 사람과 한국 사람간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거나 또는 통역이 필요할 것이다.
컴퓨터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일련의 절차가 프로토콜이다.
기기끼리 통신하는 경우에도 몇 개의 프로토콜에 의해 주고받기가 이루어진다.
TCP/IP는 인터넷 등을 필두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이다.
3. TCP/IP
- TCP/IP는 1960년대 미국 구방성이 개발을 지원한 ARPANET이라는 네트워크상에서 사용할 프로토콜로 개발되었다.
- 초기 네 개의 LAN을 연결한 것으로 현재 인터넷의 원형이라 할 수 있음
- 각각의 LAN에서만 통신이 가능하였으며, 서로 다른 LAN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통신 방법 통일 필요
- 문서, 그림 등 모든 데이터를 전기 신호나 광 신호로 변환해야만 전달이 가능
- 신호로 변환 → 전달 → 데이터 재변환으로 흐름을 통일(TCP/IP 구조 탄생)
- TCP/IP라는 공통된 구조로 전 세계 네트워크를 연결
프로토콜
1. 통신서비스와 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1.1 통신 서비스
*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능
- WWW, 전자메일, 파일 공유, 원격 로그인, 기타 IP 전화, 파일 전송, 넷 뉴스 등
- 다양한 정보의 공유나 검색, 다운로드, 인터넷 쇼핑 등이 가능한 WWW
- 전 세계 규모의 우편 시스템, 텍스트나 문서 또는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메일
- 네트워크상에서 공유 공간을 준비하고 파일 주고받기나 동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일 공유
- 떨어진 곳에 잇는 컴퓨터를 다른 컴퓨터에서 조작할 수 있는 원격 로그인
* 시작방법
① 시작 →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명령프롬프트(MS-DOS)
② 시작 → 실행 후 “cmd” 입력 후 확인(윈도우키 + R) 윈도우 기준
ping 명령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LAN card) 상태 확인하기
* ping 127.0.0.1 입력 후 실행
1.2 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CUI(Character User Interface) 환경을 사용하여 실제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한 명령어 소개 윈도우(Windows) 환경에서 명령프롬프트(MS-DOS)를 사용하여 실행 가능
실행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응답 바이트와 시간, TTL 값 확인
패킷 보냄과 받은, 손실 등 왕복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음
이것은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LAN card)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리】
1. 네트워크는 정보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통신 기기를 연결한 형태를 말한다.
2. 일상에서 우리는 컴퓨터와 모니터, 프린터, 스케너 등 가장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3.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공통적인 규칙이다.
4. 네트워크의 등장과 발달로 정보의 검색, 우편, 파일 공유, 원격 로그인 등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5. 네트워크 명령어의 사용을 위해서는 명령프롬프트(MS-DOS)를 이용할 수 있다.
6. ping 명령어는 특정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존재하고 있을 경우 통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네트워크 참조
통신(Communication) 과 네트워크(Network)
2.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기술
통신(Communication) 과 네트워크(Network) 1. 정보와 통신 - #자료(Data) : 정보로 변환될 수 있는 자료들. ex) 텍스트,영상,음성자료 등 - #정보(Infomation) : 의미있는 데이터의 가공물 , 필요한 자료를 가공..
codingducks.tistory.com
'인테넷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통신 프로토콜과 TCP / IP (0) | 2022.08.0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