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1. 통신프로토콜이란 1.1 장치가 필요한 이유 1.2 통신 프로토콜 TCP/IP 계층화 1. TCP/IP 2. 계층화 2.1 단계로 나눠서 처리하기 2.2 TCP/IP 5계층 정리 |
통신 프로토콜
1. 통신 프로토콜이란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간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해서는 그에 맞는 장치가 필요하다.
만일 장치가 없다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게 된다.
1.1 장치가 필요한 이유
- 컴퓨터간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공통된 장치가 없다면 불편하기 때문에 공통된 장치를 만들면 각각의 차이에 관계없이 데이터 송수신 가능
- 개방 시스템은 기반구조와 관계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의 집합
- OSI 모델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반의 논리적인 변화에 대한 요구 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OSI 모델은 프로토콜이 아닌 유연하고 안전하며 상호 연동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한 목적이다.
1.2 통신 프로토콜
-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컴퓨터가 미리 정해 놓은 공통된 매뉴얼에 따라 연락을 취해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이라 한다. 일상에서의 통신 프로토콜의 예
① 시작 : 휴대폰에서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른다.
② 대기 : 연결 신호와 함께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를 기다린다.(수신 요청)
③ 데이터 송수신 : 상대방이 전화를 받아 대화를 주고받는다.
④ 종료 : 종료 버튼을 통해 전화 연결을 종료한다.
컴퓨터는 주어진 작업에 대하여 순차적으로만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부분 부터
시작,대기,데이터 송수신, 종료등에 대한 절차를 자세히 정해 주어야만 한다.
TCP/IP와 계층화
TCP/IP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이다.
1. TCP/IP
- 공통된 프로토콜이 존재해야만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다.
-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만을 사용하면 어떠한 통신기기(컴퓨터,휴대폰,단말기등)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게 될 것이다.
- TCP/IP는 전 세계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로 채택이 되었다.
-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여러 가지 작업이 필요하며, 또한 하나의 프로토콜로 그 모든 것을 처리하는 것은 힘들다.
하지만 TCP/IP는 여러 개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 TCP/IP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각 모듈이 대화식으로 되어 있는 계층 구조를 갖는 프로토콜이지만 모듈들이 반드시 상호 의존적이지는 않다.
- TCP/IP 프로토콜의 계층은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혼합되고 대응되는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다.
- TCP/IP의 4계층(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은 OSI 모델의 4계층과 일치하는 물리적 표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가 상호연결, 그리고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2. 계층화
TCP/IP는 송수신에 필요한 작업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2.1 단계로 나눠서 처리하기
- TCP/IP는 송수신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 각각의 기능에 맞게 층으로 나눈 것을 계층화라고 한다.
- 회사 조직을 예를 들면 각 계층은 부서에 해당한다.
- 각 부서에서는 작업 매뉴얼이 구비되어 있어서 그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 다른 부서의 업무를 몰라도 사장의 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 계층마다 작업을 독립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 TCP/IP의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2.2 TCP/IP 5계층
TCP/IP는 5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리
1.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공통된 규칙이다.
2. 개방 시스템은 기반구조와 관계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3. TCP/IP 4계층(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계층)은 OSI 모델의 4계층과 일치하는 물리적 표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간 상호연결 그리고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4. TCP/IP는 계층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다.
5. TCP/IP는 데이터를 송수신에 필요한 작업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3 네트워크 계층구조 모델 OSI
목차 바로가기 1. 네트워크 용어 2. 네트워크 계층 구조 모델 OSI 3. 프로토콜(Protocol) 4. OSI 계층 개요 5. 계층의 구성 6. 물리 계층(Physical Layer) 7.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8. 네트워크 계층..
codingducks.tistory.com
댓글